[경제읽기] 한은 금통위 D-1…38만 '고위험 가구' 부실 위험 ↑<br /><br /><br />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한국은행의 금융통화위원회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습니다.<br /><br />기준금리를 0.5%포인트 올리는 이른바 빅 스텝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며 대출자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38만 가구가 집까지 팔아도 빚을 갚지 못할 정도로 부실 위험이 큰 것으로 집계돼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관련 내용, 권혁중 경제평론가와 살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세요?<br /><br /> 집이나 가지고 있는 자산을 다 팔아도 대출을 다 갚을 수 없는 금융부채 고위험 가구가 약 38만 가구로 집계되어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 현재 고위험 가구는 전체 금융부채의 6.2%인 69조 규모의 부채를 차지하고 있다는데 정확히 고위험가구의 기준은 무엇인가요?<br /><br /> 금융부채 고위험가구는 이미 소득의 40% 이상을 원리금 상환에 쏟아붓고 있다는데 금리가 인상되면 부실 위험이 더 커지는 것 아닌가요? 상황 어떻게 진단하고 계신가요?<br /><br /> 이런 상황 속에서 내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결정합니다. 시장에서는 기준금리를 0.5%p 높이는 이른바 '빅 스텝'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는데 어떻게 예상하십니까?<br /><br /> 한국은행은 기준금리가 빅 스텝으로 0.5%포인트 인상되면 전체 대출 이자가 6조5천억원 증가할 거라 보고 있습니다. 대출자들의 부담이 만만치 않을 것 같은데 1인당 이자가 얼마나 늘어나게 되는건가요?<br /><br /> 미국의 긴축 뿐만 아니라 여전히 고물가가 지속되는 상황인만큼 일각에선 10월 뿐만 아니라 11월에도 '빅스텝에 나서는 '더블 빅 스텝'이 가시화 됐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. 만일 기준금리가 1%포인트 오른다면 전체 대출자의 이자부담은 지금보다 13조 원 늘어나게 되는데 가능성은 어떨까요?<br /><br /> 금리 인상으로 취약 차주와 저소득 가계의 이자 부담이 커지고 코로나19 금융지원이 종료되고 물가가 치솟는 등 금융시스템에 잠재적으로 부담을 주는 불안한 상황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우려가 큽니다. 어떤 대비책들이 필요할까요?<br /><br /> 일본 정부가 오늘부터 우리나라를 포함한 68개 국가와 지역을 대상으로 무비자 입국을 허용합니다. 최근 엔화 가치가 하락하며 일본 물가가 상대적으로 저렴해진 만큼 여행 수요도 빠르게 늘 것 같은데 유의할 점은 없을까요?<br /><br /> 택시 기사의 연간 매출이 평균 3천만 원 수준으로 퀵·배달대행 서비스에 종사하는 소상공인과 비교해 3분의 1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 택시 기본요금 인상을 두고 택시업계에서 그 정도로는 떠났던 기사들이 돌아오지 않을 거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 이유가 이런 배경 때문이었을까요?<br /><br />#한국은행 #금융통화위원회 #금융부채 #고위험가구 #빅스텝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